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공부방법] 게임처럼 공부하기? 과연 가능한것인가? (최상위권 학생들의 공부 비결)

"야! 오늘도 게임이냐? 내일이 중간고사 인데 넌 그걸 오늘도 하고 싶냐?"
"도대체 정신이 있는거니 없는거니?"
"제발 공부를 그 게임 하는 것처럼 해봐라!! 그럼 너도 당장 전교 1등 할꺼다"
"이~. 왠수야!!!"


오늘도 의자 뒤에서 들려오는 엄마의 잔소리는 헤드폰을 끼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어김없이 내 귀에 와서 날카롭게 꽃힌다. 공부가 게임처럼 재미있으면 할 수 있을지도 모르지? 하지만 공부는 지겹고 너무너무 하기 싫은 거잖어. 엄마는 늘 말도 안되는 이야기만 하신다. 그런데 그러고 보니 갑자기 의문이 든다. "정말, 공부를 게임하는 것처럼 즐겁게 할 수는 없을까?? 난 1시간도 책상에 앉아 있기 힘든데 전교 1등인 이준이는 어떻게 앉아 있을 수 있는거지? 그 녀석은 정말 공부가 재미있나?"

정답은 공부는 절대 재미있을 수 없다. 지겹다

서울대 4천면 중 40명. 미친놈

공부는 결국 버티기 싸움. 누가 오래 책상에 엉덩이 붙이고 앉아 있나 싸움

공부 잘 하는 넘들은 끈기란 것을 갖고 태어나보다.. 아니면 부모님들이 극기 훈련 같은걸 어렸을때부터 많이 시키셨나??? 나란 놈은 끈기, 인내, 참을성 이런것과는 거리가 먼 놈이다. 아 근데?? 나도 가끔 끈기나 인내가 많을때가 느낄때가 있다. 그렇다 바로 게임에 열중하고 있을때다... LOL 을 하고 있으면 시간 가는 줄도 모르고 새벽 2-3시까지 하루에 10시간도 의자에 앉아서 하더라도 피곤하지도 졸립지도 않다. 과연 나는 끈기가 있는 놈일까? 아닐까? 어서 빨리 내가 좋아하는 것을 찾아야 진로도 정하고 꿈고 생기고 할텐데.....나란 놈은 게임 할때만 좋아하는 것 같고 그 것외에는 당최 뭘 좋아하는지도 모르겠고 끈기도 안 생긴다. 도대체 어떻게 된 걸까?

과학적 실험과 수많은 논문에 끈기나 심지어 공부하는 학습능력, IQ등은 시험 성적과 정비례 하지는 않는 것으로 이미 판명되었다.

내가 진짜 허벅다리를 샤프로 찔러가며 졸린걸 참아가며 공부했는데도 점수는 개미 코딱지만큼 올랐다. 자신감이 떨어진다. 내가 나를 믿는 자존감은 처참하게 무너진다. 난 정말 결국 안되는 놈이야. 난 해도 안돼. 난 그렇게 태어났어.
이런 자존감 하락은 지금 당장의 대입입시보다 인생 전반에 걸쳐 문제를 일으킨다.

너무 좌절하거나 낙담하지 말거라 중생들아~~~~~~~

너희들은 그렇게 태어나지 않았다. 전교 1등을 못할정도로 머리가 나쁜것도 아니다. 열심히 했다고???? 그래 열심히 했다. 하지만 방법이 틀렸다.
샤프로 허벅지를 쑤시는 것이 하기 싫은 일을 억지로 하기 위해 쑤셨으면 그게 잘 못된거다.
허벅지를 쑤셔서라도 내가 하고 싶고 달성하고 싶은 일을 하기 위해 자발적(?)으로 쑤셔야 하는 것이다. 말로 표현이 잘 안되는가??? 이해가 안되나????

나중에 좋은 직장, 멋진 대학생활을 만끽하기 위해 지금 이 고통을 참고 버티는 삶을 살아선, 그리고 그런 억지스러운 공부방법은 공부방법이 틀린 것이다. 그건 결코 오래 가기 힘들다. 결국 어느 날 대폭발하고 한번 시험을 못보고 두번 못보면 금방 무너져 내릴 것이다. 금방 포기하게 된다는 말이다. 앞으로 3-4년 지루하고 지리하게 이어질 시간들인데 말이다.

공부를 게임하듯이 하는 방법

공부는 아주 오랜 노가다 클릭질로 레벨업이 되는 롤 플레잉 게임과 매우 유사하다.
재미없고 지겹고 단순반복인 칼질이 쌓여 레벨업이 되는 순간 난 쾌감을 느낀다.
그리고 개미 눈꼽만큼 찔끔찔끔 올라가는 네 레벨 포인트들이 계속 눈에 보이고 작지만 반드시 올라가고 있는 모습이 보인다. 혹자들은 공부와 게임이 다른 것은 내가 열심히 하고 있는 그 순간, 그러니까 단순칼질 하는 그 순간 게임은 그것이 눈에 보이지만 공부는 그것이 눈에 보이지 않고 분명 레벨업 될 것이라는 확신이 없기 때문에 다른 것이고 공부가 더 힘든 것이라고 한다.

그러면 어떻게 해야 할까?  네가 공부하는 것을 레벨업 과정이 보이도록 만들어야 한다.
그것이 내 공부법 1번 이다.

공부하기 전에 계획을 반드시 세워야 한다. 그리고 그 계획은 반드시 구체적이어야 하고 정량적인 측정이 가능해야 한다.

그러면 끝냈을때 내가 투입한 시간과 양, 질이 숫자로 표현된다.
단순하게 하루에 8시간 공부하기로 했는데 오늘 계획에서 차질이 생겨서 5시간 밖에 못 했으면 62.5% 라는 네 달성률이 숫자로 보인다. 그리고 네가 샤프로 허벅지를 찔러 가며 졸음을 참아가며 100%를 달성한 날은 마치 레벨업을 한 것 같은 자기 만족과 성취감을 느낄 수 있다. 그리고 그 뿌듯함과 마약같은 성취감은 네가 내일도 엉덩이를 의자에 붙이고 앉아 있게 만드는 원동력이 될 것이다.~~~

그런데 이런 작은 퀘스트 레벨업이 쌓여 본 게임인 학교 중간고사나 모의고사 같은 것에서도 그 성과가 나타나버리면 그땐 넌 게임 중독이 아닌 공부 중독에 빠지게 되는 것이다.

전교 1등을 하고 있는 옆 친구가 있으면 한번 물어봐라...이렇게 세밀한 자기 계획하에 공부하지 않고 그냥 머리속에서 생각나는 대로 닥치는 대로 공부하고 있는 애가 있는지???

필자는 감히 예상해본다. 진짜 범접하기 힘든 또라이 천재가 아니라면 단 한명도 그렇게 공부하지 않는 전교1등은 없을 것이라고...........

바로 이 방법이 전교 1등 자신도 내가 왜 이렇게 공부할 수 있는지 모르고 있는 가장 원천적인 공부 습관, 생활습관, 공부법, 공부방법이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수험정보] Congressional Award (봉사 수상)

[수험정보] Congressional Award (봉사 수상) ○ 워싱턴 상원/하원 의원들이 제정한 미국 하원의원 상     - 1년에 400여명 수상     - 만 13.5세부터 신청 할수 있음 ○ 대통령 봉사상과는 전혀 다른 개념     - 누구나 도전 가능하지만     - 일정기간 지속적으로 자기 개발을 위한 노력 필요 ○ 4개 분야에서 각각 목표를 설정하고 자신의 노력으로 성취에 따라     Certificate와 Medal 두 카테고리에서 금,은,동 상 받을 수 있음     6단계의 마지막인 골드메달은 대단이 영예로운 상     - 공공봉사활동 (Volunteer Public Service)     - 자기개발 (Personal Development)     - 신체단련 (Physical Fitness)     - 탐험, 탐구 (Exploration / Expediion) ○ 가주교육신문에서 마련한 프로그램     - 등록비 : $250 (첫 상담시 납부)     - 관리 및 상담비 : 150$/3개월 (3개월에 한번씩 어드바이저 상담)     - 등록 문의 : info@caledunews.com http://www.caledunews.com/bbs/board.php?bo_table=eduinfo&wr_id=220 콩그레셔널 어워드 (The Congressional Award Program) 미국식 전인교육(全人敎育)의 인증서, 연방의회상 이른바 명문대학에 합격하기 위해서는 고등학교 성적이 우수해야 하는 것...

[수험정보] 봉사활동 (병원 자원봉사 프로그램)

○ 적합자 : 생물학 전공 / 의료계통 희망자 ○ 큰병원들은 고등학생 봉사자 모집하고 관리부서 따로 있음 ○ 지역의 작은 병원이나 클리닉은 공개적으로 모집하지는 않지만 직접 방문 통해 가능 ○ 하는 일 : 휠체어 밀어주는 일, 퇴원수속, 의료기록 전달, 길 안내 등 ○ 이중언어 사용은 병원 봉사활동의 큰 장점 ○ 토랜스 메모리얼 의료센터 (Torrance Memorial Medical Center)     - 우수병원 랭킹 LA지역 10위, 캘리포니아 21위     - 모집일 : 3월(1월에 접수) / 10월(8월에 접수) 2회/년     - 대상자 : 9~11학년 (14세~18세), 12학년은 불가(11학년 봄학기가 마지막), 1인/1가정     - 봉사기간       : 반드시 13개월 동안 봉사해야 함 (1년 이상은 안됨, 단기봉사 없음)       : 1년간 주중(오후 4시~6시)에 2시간씩 일하거나       : 주말(오전8시~12시/12시~4시)에는 격주로 4시간씩       : 병원 담당부서(Escort Services)와 상의하여 주중/주말중 택     - 지원 방법 : 온라인 접수 --> 1차 선정 --> 개별 통보 --> 설명회 초대     - 경쟁률 : 50명 합격 / 230명 지원자 중 (무작위 선발 방식 사용)     - 이중언어 사용이 가장 큰 장점 (영어를 잘해야 함)     - 지원 절차 (2019년 봄 프로그램 예시)       ① 사전지원서 : 1월 21일 10시부터 접수 시작 ~ 22일 오후 5시 마감       ② 설명회 :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