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 오늘도 게임이냐? 내일이 중간고사 인데 넌 그걸 오늘도 하고 싶냐?"
"도대체 정신이 있는거니 없는거니?"
"제발 공부를 그 게임 하는 것처럼 해봐라!! 그럼 너도 당장 전교 1등 할꺼다"
"이~. 왠수야!!!"
오늘도 의자 뒤에서 들려오는 엄마의 잔소리는 헤드폰을 끼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어김없이 내 귀에 와서 날카롭게 꽃힌다. 공부가 게임처럼 재미있으면 할 수 있을지도 모르지? 하지만 공부는 지겹고 너무너무 하기 싫은 거잖어. 엄마는 늘 말도 안되는 이야기만 하신다. 그런데 그러고 보니 갑자기 의문이 든다. "정말, 공부를 게임하는 것처럼 즐겁게 할 수는 없을까?? 난 1시간도 책상에 앉아 있기 힘든데 전교 1등인 이준이는 어떻게 앉아 있을 수 있는거지? 그 녀석은 정말 공부가 재미있나?"
정답은 공부는 절대 재미있을 수 없다. 지겹다
서울대 4천면 중 40명. 미친놈
공부는 결국 버티기 싸움. 누가 오래 책상에 엉덩이 붙이고 앉아 있나 싸움
공부 잘 하는 넘들은 끈기란 것을 갖고 태어나보다.. 아니면 부모님들이 극기 훈련 같은걸 어렸을때부터 많이 시키셨나??? 나란 놈은 끈기, 인내, 참을성 이런것과는 거리가 먼 놈이다. 아 근데?? 나도 가끔 끈기나 인내가 많을때가 느낄때가 있다. 그렇다 바로 게임에 열중하고 있을때다... LOL 을 하고 있으면 시간 가는 줄도 모르고 새벽 2-3시까지 하루에 10시간도 의자에 앉아서 하더라도 피곤하지도 졸립지도 않다. 과연 나는 끈기가 있는 놈일까? 아닐까? 어서 빨리 내가 좋아하는 것을 찾아야 진로도 정하고 꿈고 생기고 할텐데.....나란 놈은 게임 할때만 좋아하는 것 같고 그 것외에는 당최 뭘 좋아하는지도 모르겠고 끈기도 안 생긴다. 도대체 어떻게 된 걸까?
과학적 실험과 수많은 논문에 끈기나 심지어 공부하는 학습능력, IQ등은 시험 성적과 정비례 하지는 않는 것으로 이미 판명되었다.
내가 진짜 허벅다리를 샤프로 찔러가며 졸린걸 참아가며 공부했는데도 점수는 개미 코딱지만큼 올랐다. 자신감이 떨어진다. 내가 나를 믿는 자존감은 처참하게 무너진다. 난 정말 결국 안되는 놈이야. 난 해도 안돼. 난 그렇게 태어났어.
이런 자존감 하락은 지금 당장의 대입입시보다 인생 전반에 걸쳐 문제를 일으킨다.
너무 좌절하거나 낙담하지 말거라 중생들아~~~~~~~
너희들은 그렇게 태어나지 않았다. 전교 1등을 못할정도로 머리가 나쁜것도 아니다. 열심히 했다고???? 그래 열심히 했다. 하지만 방법이 틀렸다.
샤프로 허벅지를 쑤시는 것이 하기 싫은 일을 억지로 하기 위해 쑤셨으면 그게 잘 못된거다.
허벅지를 쑤셔서라도 내가 하고 싶고 달성하고 싶은 일을 하기 위해 자발적(?)으로 쑤셔야 하는 것이다. 말로 표현이 잘 안되는가??? 이해가 안되나????
나중에 좋은 직장, 멋진 대학생활을 만끽하기 위해 지금 이 고통을 참고 버티는 삶을 살아선, 그리고 그런 억지스러운 공부방법은 공부방법이 틀린 것이다. 그건 결코 오래 가기 힘들다. 결국 어느 날 대폭발하고 한번 시험을 못보고 두번 못보면 금방 무너져 내릴 것이다. 금방 포기하게 된다는 말이다. 앞으로 3-4년 지루하고 지리하게 이어질 시간들인데 말이다.
공부를 게임하듯이 하는 방법
공부는 아주 오랜 노가다 클릭질로 레벨업이 되는 롤 플레잉 게임과 매우 유사하다.
재미없고 지겹고 단순반복인 칼질이 쌓여 레벨업이 되는 순간 난 쾌감을 느낀다.
그리고 개미 눈꼽만큼 찔끔찔끔 올라가는 네 레벨 포인트들이 계속 눈에 보이고 작지만 반드시 올라가고 있는 모습이 보인다. 혹자들은 공부와 게임이 다른 것은 내가 열심히 하고 있는 그 순간, 그러니까 단순칼질 하는 그 순간 게임은 그것이 눈에 보이지만 공부는 그것이 눈에 보이지 않고 분명 레벨업 될 것이라는 확신이 없기 때문에 다른 것이고 공부가 더 힘든 것이라고 한다.
그러면 어떻게 해야 할까? 네가 공부하는 것을 레벨업 과정이 보이도록 만들어야 한다.
그것이 내 공부법 1번 이다.
공부하기 전에 계획을 반드시 세워야 한다. 그리고 그 계획은 반드시 구체적이어야 하고 정량적인 측정이 가능해야 한다.
그러면 끝냈을때 내가 투입한 시간과 양, 질이 숫자로 표현된다.
단순하게 하루에 8시간 공부하기로 했는데 오늘 계획에서 차질이 생겨서 5시간 밖에 못 했으면 62.5% 라는 네 달성률이 숫자로 보인다. 그리고 네가 샤프로 허벅지를 찔러 가며 졸음을 참아가며 100%를 달성한 날은 마치 레벨업을 한 것 같은 자기 만족과 성취감을 느낄 수 있다. 그리고 그 뿌듯함과 마약같은 성취감은 네가 내일도 엉덩이를 의자에 붙이고 앉아 있게 만드는 원동력이 될 것이다.~~~
그런데 이런 작은 퀘스트 레벨업이 쌓여 본 게임인 학교 중간고사나 모의고사 같은 것에서도 그 성과가 나타나버리면 그땐 넌 게임 중독이 아닌 공부 중독에 빠지게 되는 것이다.
전교 1등을 하고 있는 옆 친구가 있으면 한번 물어봐라...이렇게 세밀한 자기 계획하에 공부하지 않고 그냥 머리속에서 생각나는 대로 닥치는 대로 공부하고 있는 애가 있는지???
필자는 감히 예상해본다. 진짜 범접하기 힘든 또라이 천재가 아니라면 단 한명도 그렇게 공부하지 않는 전교1등은 없을 것이라고...........
바로 이 방법이 전교 1등 자신도 내가 왜 이렇게 공부할 수 있는지 모르고 있는 가장 원천적인 공부 습관, 생활습관, 공부법, 공부방법이다.
"도대체 정신이 있는거니 없는거니?"
"제발 공부를 그 게임 하는 것처럼 해봐라!! 그럼 너도 당장 전교 1등 할꺼다"
"이~. 왠수야!!!"
오늘도 의자 뒤에서 들려오는 엄마의 잔소리는 헤드폰을 끼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어김없이 내 귀에 와서 날카롭게 꽃힌다. 공부가 게임처럼 재미있으면 할 수 있을지도 모르지? 하지만 공부는 지겹고 너무너무 하기 싫은 거잖어. 엄마는 늘 말도 안되는 이야기만 하신다. 그런데 그러고 보니 갑자기 의문이 든다. "정말, 공부를 게임하는 것처럼 즐겁게 할 수는 없을까?? 난 1시간도 책상에 앉아 있기 힘든데 전교 1등인 이준이는 어떻게 앉아 있을 수 있는거지? 그 녀석은 정말 공부가 재미있나?"
정답은 공부는 절대 재미있을 수 없다. 지겹다
서울대 4천면 중 40명. 미친놈
공부는 결국 버티기 싸움. 누가 오래 책상에 엉덩이 붙이고 앉아 있나 싸움
공부 잘 하는 넘들은 끈기란 것을 갖고 태어나보다.. 아니면 부모님들이 극기 훈련 같은걸 어렸을때부터 많이 시키셨나??? 나란 놈은 끈기, 인내, 참을성 이런것과는 거리가 먼 놈이다. 아 근데?? 나도 가끔 끈기나 인내가 많을때가 느낄때가 있다. 그렇다 바로 게임에 열중하고 있을때다... LOL 을 하고 있으면 시간 가는 줄도 모르고 새벽 2-3시까지 하루에 10시간도 의자에 앉아서 하더라도 피곤하지도 졸립지도 않다. 과연 나는 끈기가 있는 놈일까? 아닐까? 어서 빨리 내가 좋아하는 것을 찾아야 진로도 정하고 꿈고 생기고 할텐데.....나란 놈은 게임 할때만 좋아하는 것 같고 그 것외에는 당최 뭘 좋아하는지도 모르겠고 끈기도 안 생긴다. 도대체 어떻게 된 걸까?
과학적 실험과 수많은 논문에 끈기나 심지어 공부하는 학습능력, IQ등은 시험 성적과 정비례 하지는 않는 것으로 이미 판명되었다.
내가 진짜 허벅다리를 샤프로 찔러가며 졸린걸 참아가며 공부했는데도 점수는 개미 코딱지만큼 올랐다. 자신감이 떨어진다. 내가 나를 믿는 자존감은 처참하게 무너진다. 난 정말 결국 안되는 놈이야. 난 해도 안돼. 난 그렇게 태어났어.
이런 자존감 하락은 지금 당장의 대입입시보다 인생 전반에 걸쳐 문제를 일으킨다.
너무 좌절하거나 낙담하지 말거라 중생들아~~~~~~~
너희들은 그렇게 태어나지 않았다. 전교 1등을 못할정도로 머리가 나쁜것도 아니다. 열심히 했다고???? 그래 열심히 했다. 하지만 방법이 틀렸다.
샤프로 허벅지를 쑤시는 것이 하기 싫은 일을 억지로 하기 위해 쑤셨으면 그게 잘 못된거다.
허벅지를 쑤셔서라도 내가 하고 싶고 달성하고 싶은 일을 하기 위해 자발적(?)으로 쑤셔야 하는 것이다. 말로 표현이 잘 안되는가??? 이해가 안되나????
나중에 좋은 직장, 멋진 대학생활을 만끽하기 위해 지금 이 고통을 참고 버티는 삶을 살아선, 그리고 그런 억지스러운 공부방법은 공부방법이 틀린 것이다. 그건 결코 오래 가기 힘들다. 결국 어느 날 대폭발하고 한번 시험을 못보고 두번 못보면 금방 무너져 내릴 것이다. 금방 포기하게 된다는 말이다. 앞으로 3-4년 지루하고 지리하게 이어질 시간들인데 말이다.
공부를 게임하듯이 하는 방법
공부는 아주 오랜 노가다 클릭질로 레벨업이 되는 롤 플레잉 게임과 매우 유사하다.
재미없고 지겹고 단순반복인 칼질이 쌓여 레벨업이 되는 순간 난 쾌감을 느낀다.
그리고 개미 눈꼽만큼 찔끔찔끔 올라가는 네 레벨 포인트들이 계속 눈에 보이고 작지만 반드시 올라가고 있는 모습이 보인다. 혹자들은 공부와 게임이 다른 것은 내가 열심히 하고 있는 그 순간, 그러니까 단순칼질 하는 그 순간 게임은 그것이 눈에 보이지만 공부는 그것이 눈에 보이지 않고 분명 레벨업 될 것이라는 확신이 없기 때문에 다른 것이고 공부가 더 힘든 것이라고 한다.
그러면 어떻게 해야 할까? 네가 공부하는 것을 레벨업 과정이 보이도록 만들어야 한다.
그것이 내 공부법 1번 이다.
공부하기 전에 계획을 반드시 세워야 한다. 그리고 그 계획은 반드시 구체적이어야 하고 정량적인 측정이 가능해야 한다.
그러면 끝냈을때 내가 투입한 시간과 양, 질이 숫자로 표현된다.
단순하게 하루에 8시간 공부하기로 했는데 오늘 계획에서 차질이 생겨서 5시간 밖에 못 했으면 62.5% 라는 네 달성률이 숫자로 보인다. 그리고 네가 샤프로 허벅지를 찔러 가며 졸음을 참아가며 100%를 달성한 날은 마치 레벨업을 한 것 같은 자기 만족과 성취감을 느낄 수 있다. 그리고 그 뿌듯함과 마약같은 성취감은 네가 내일도 엉덩이를 의자에 붙이고 앉아 있게 만드는 원동력이 될 것이다.~~~
그런데 이런 작은 퀘스트 레벨업이 쌓여 본 게임인 학교 중간고사나 모의고사 같은 것에서도 그 성과가 나타나버리면 그땐 넌 게임 중독이 아닌 공부 중독에 빠지게 되는 것이다.
전교 1등을 하고 있는 옆 친구가 있으면 한번 물어봐라...이렇게 세밀한 자기 계획하에 공부하지 않고 그냥 머리속에서 생각나는 대로 닥치는 대로 공부하고 있는 애가 있는지???
필자는 감히 예상해본다. 진짜 범접하기 힘든 또라이 천재가 아니라면 단 한명도 그렇게 공부하지 않는 전교1등은 없을 것이라고...........
바로 이 방법이 전교 1등 자신도 내가 왜 이렇게 공부할 수 있는지 모르고 있는 가장 원천적인 공부 습관, 생활습관, 공부법, 공부방법이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