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9월, 2019의 게시물 표시

[전문가 인터뷰] 대입 입시 준비 (공부, 인턴, 봉사 등)

★ 공부하는 방법     - 숙제에 대한 태도가 더 중요 (열심히 성의있게 해가려는 태도)     - 학교 생활 열심히 하는 것이 중요 (무엇이든지 열심히 하려는 태도)     - 그 열심히 한다는 것이 어필이 되어야 함 (물어보고 참여하고 튀어야 함)     - 선생님과의 관계 형성 엄청 중요함 (그냥 친한게 아님)     - 선생님께 자신을 인지시켜야 함 (학업적으로 많이 어프로치 해야 함)     - 학교에 항의하지 말 것 (나쁜 이미지 주지 말 것, 갑을 관계임을 잊지 말것)     - 해당 단원의 정의를 읽고 이해해야 함 (예시: 함수의 정의)     - 오답 노트 반드시 만들 것     - 노트 taking 중요 (정성, 습관, 활용도 높혀야)     - 제일 중요한 것은 교과서 읽기     - 본인이 실패했을때 어떻게 극복했는지는 중요한 어필 포인트       (해당 사례등은 미리 준비하고 메모해 놓을 것)     - 성적표와 에세이를 연결시켜야 함 (실패 극복 사례)     - 8학년이 엄청 중요     - 비판적 분석 능력이 중요 ★ 오답노트 일지 (오답에 대한 자문-오답노트 만들때 생각해야 할 것)     - 문제의 유형은 무엇인가?     - 문제에 앞서 내가 몰랐던 것은 무엇인가?     - 다음을 위해 외울게 있는가?     - 해답을 찾기 위한 문제의 핵심 단어들은 무엇인가?     - 나의 어떤 지식과 이해를 문제를 통해 시험하려는 것인가?     - 만약 다음에 이 문제를 만난다면 그때는 해결할 수 있을까? ★ ...

[전문가 인터뷰] 입시준비 관련 다양한 지식 & 정보

★ 에세이     - 성공 사례 / 실폐 사례     - 자신의 이야기를 자연스럽게 12학년 고등학생의 사용 단어와 사고, 경험이 바탕     - 이제 갓 17세 정도의 학생에게 인생의 변곡점? ★ 추천서     - 일찍 준비해야 함 / 늦어도 12학년 개학과 동시     - 카운슬러와 교사에게 자신의 이력서 제공 후       최소 한번이라도 진지한 대화를 나눈 이후 추천서 작성되어야 함     - 판에 박힌 내용보다는 내면을 보여주는 추천서를 높이 평가 ★ 리더십     - 회장이나 주장을 의미하는 것이 아님     - 자신이 관심있는 분야에 최선을 다해 어떤 결과를 도출하는 것     - 한 우물을 깊이있게 파는 것 --> 크고 작은 성과가 있게 됨     - 한 분야에 대한 깊이와 열정이 핵심 열쇠 ★ 인터뷰     - 통상 인터뷰는 옵션으로 응하지 않아도 되지만     - 입학 의지와 어떤 인물인지 파악하는 대학으로서는 중요한 도구     - 적극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 KEY ★ FAFSA (Financial Aid)     - 연방정부, 주정부, 해당학교 장학금이 있음     - 연방정부, 주정부 장학금은 정해져 있음     - 재산세??? ★ 대학 관련 정보     - 아카데믹 파워 하우스 : H, Y, P, M, C (하버드, 예일, 프린스턴, MIT, 칼텍)                                 ...